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중국이 일회용 플라스틱 퇴출을 본격화 하고 있다. 이를 대체할 친환경 제품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라 우리 친환경 기업의 관련 시장 진출에도 파란불이다.
19일 한국무역협회 청두지부가 발간한 ‘중국 플라스틱 제한정책 실행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중국 전역에서 발포플라스틱 음식 용기 및 플라스틱 면봉의 생산·판매가 금지됐다.
지난해 1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플라스틱 오염 관리강화 제안’에 따른 조치다.
중국은 세계 최대 플라스틱 소비국이다. 세계 플라스틱 소비량의 약 20%에 이르고 하루에 약 30억개의 비닐봉지가 사용된다. 2019년 비닐봉지 사용량은 400만톤,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약 6300만톤이었다.
새해부터 중국 정부의 플라스틱 제한정책으로 미세 플라스틱 입자가 첨가된 샴푸, 린스, 손 세정제, 비누, 스크럽, 치약 등이 생산이 금지됐다. 2023년부터는 판매도 금지된다.
분해가 되지 않는 비닐봉지와 일회용 플라스틱 식기, 택배 비닐포장도 올해부터 주요 도시에서 사용 금지됐으며, 2026년부터는 중국 대다수의 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다.
중국 정부는 이를 위반할 경우 벌금 부과 법안도 발표한 상태로, 최대 10만 위안(약 1700만원)의 벌금이 부과된다.
이에 중국 요식업과 호텔, 슈퍼마켓, 택배 등 관련 분야 기업들은 종이 빨대와 생분해 비닐봉지 도입 등 대응에 분주하다. 음식배달 플랫폼 메이퇀은 친환경 포장 솔루션을 개발해 입주업체에 제공하고, 도시락통 회수체계 개발에도 나섰다.
고범서 무역협회 청두지부장은 “중국 내 플라스틱 대체 제품과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나라는 이미 미세 플라스틱이 포함되지 않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등 관련 분야에서 앞선 만큼, 우리 기업들이 적극 진출해 시장 선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세훈 기자 twonews@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