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최지연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계속되면서 대부분의 대학이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할 예정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가계 부담이 늘어나고 오프라인 수업 없이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구 경북권 4년제 대학도 대부분 등록금을 동결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대는 5일 교직원과 학생 대표 등으로 구성한 제1차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올해 등록금을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 등으로 사정이 어려운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을 덜기 위한 조치라고 대학 측은 설명했다.
포항 한동대는 2월 등록금 관련 논의가 있을 예정이지만 동결될 예정이다. 2009년부터 2020년까지 등록금을 동결해온 한동대 측은 올해 역시 코로나 정국을 감안해 등록금을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동대 등록금은 인문대 300만 원, 자연계 380만 원, 인문자연 연계전공은 340만 원을 11년간 유지해왔다.
경일대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영남대 등 대구 지역 다른 4년제 대학과 포스텍(포항공과대학)도 등록금 동결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한밭대학교는 '2021학년도 학부 등록금을 전년 대비 0.47% 인하하고 대학원 등록금은 동결한다. 이번 결정으로 한밭대는 대학원 등록금을 2012년부터 10년간 동결하고 학부 등록금 역시 2008년부터 13년간 동결 또는 인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서울대학교는 2021학년도 학부·대학원 등록금 1.2% 인상을 추진하고 있어 학생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7일 서울대 총학생회인 '2021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에 따르면 지난 5일 진행된 2021학년도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 2차 회의에서 학교 측은 학부·대학원 등록금을 전년 대비 1.2% 인상하고 대학원 입학금을 유지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당시 회의에서 학교 측은 9·10분위 가구 소득이 증가한 만큼 등록금 인상에 무리가 없으며 등록금 인상을 통한 학교 수입을 장학금 재원으로 사용할 경우 소득 재분배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대 산학협력단과 서울대 발전기금으로부터 전입금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돼 등록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게 학교 측 입장이다.
하지만 등심위 학생위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전체 소득이 아닌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등록금 인상에 반대하는 이유는 코로나19로 모두가 피해를 본 부적절한 시기의 인상이기 때문"이라고 반발했다.
최근 교육부에서 제정한 2021학년도 대학(대학원) 등록금 인상 법정 한도는 1.2%다. 2020년의 1.95%보다 0.75% 낮은 포인트다.
현행법상 등록금 인상 상한률은 직전 3년 평균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1.5배로 정하고 있다.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18년 1.5%, 2019년 0.4%, 2020년 0.5%이며 3년간 평균 물가상승률은 0.8%다.
교육부는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해 소득연계형 반값등록금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연간 4000억 원 규모의 국가장학금Ⅱ 유형을 받지 못하게 제한했다.
교육부의 법정 상한률에 따라 대학들은 2020년보다 등록금을 1.2%를 인상할 수 있게 됐지만 사실상 동결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게다가 지난해에 이어 2021년에도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학생 측에서 등록금 인하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 대학 측에서는 동결 방침을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
등록금 상한 여부는 올해 1월까지 각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를 통해 책정된다.
최지연 기자 choijiye@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