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박대웅 기자] 해양강국 꿈구는 대한민국,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마리나 구축 등 다방면에서 각계 각층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4일 배 체급별 계체를 시작으로 6일부터 8일까지 본격적인 레이스에 나서는 제14회 이순신장군배 국제요트대회를 맞아 우리가 몰랐던 요트에 대해 알아봤다. -편집자 주

요트는 크게 선체(hull), 마스트(mast), 붐(boom), 리깅(riging), 세일(sail) 그리고 키(rudder)로 이루어져 있다. 선체의 앞부분을 선수(bow), 뒷부분을 선미(stern)라고 하며 중앙부를 선복(midship)이라고 한다. 사람이 탈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을 콕핏(cockpit)이라 한다. 선수를 바라본 위치에서 좌측을 좌현(port side), 우측을 우현(starboard side)이라고 한다. 또한 마스트를 세우고 세일을 조정하는 등 요트 조작에 필요한 모든 줄을 리깅이라고 한다.

요트 총괄 명칭. 체육진흥공단

선체는 요트의 속도와 선회성, 복원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종래 선체의 주요 재료는 목재였지만 근래에는 합판과 FRP를 주로 사용한다. 섬유유리보강수지(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 FRP)는 강도와 연성이 좋고 몰드공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요트제작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요트의 선저는 라운드 보텀, 플래트 보텀, 차인(chine), 더블 차인 그리고 아크 보텀(arc bottom)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라운드 보텀정은 요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부드럽게 힐링(heeling) 되기 때문에 승선감이 좋고 속도가 우수해 경기정으로 널리 쓰인다. 차인정은 제작이 쉽고 라운드정보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초보자를 위한 연습정으로 널리 사용된다.

선체의 각부분 명칭. 체육진흥공단

선체 재료는 주로 목재가 사용돼 왔으나 근대에는 합판과 섬유유리보강수지(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 FRP)를 많이 사용한다. FRP는 강도와 연성이 좋고 몰드공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요트제작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가져왔다. 

세일(돛)은 크게 메인세일(maim sail)과 지브세일(jib sail) 그리고 스피니커(spinnaker)로 나뉜다. 메인세일과 지브세일은 요트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주된 역할을 하는 만큼 워킹 세일(working sail)이라고 한다. 세일은 장력에 강하고 풍향이 통하거나 부식되지 않으며 해수에 강해야 해 합성천이나 특수천으로 만든다. 조선시대에는 삼베를 사용했다.

요트의 각부분 명칭. 체육진흥공장

메인세일은 삼각형의 세일로 세 꼭지점은 각각 헤드, 클루(clew), 택(tack)이라고 한다. 마스트에 부착되는 변을 러프(luff), 붐에 부착되는 변을 풋(foot) 그리고 나머지 한 변을 리치(leech)라고 한다. 여기에 배튼 포켓(batten pocket)에 편평한 합판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튼 배튼을 넣어 세일 모양을 유지한다. 

지브세일의 각부 명칭은 메인세일과 비슷한다. 지브세일은 크기에 따라 스톰 지브, 정규 지브, 제노아 지브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정규지브를 많이 사용하며 스톰 지브는 강풍일 때, 제노아 지브는 풍향이 약할 때 쓴다. 스피니커는 주로 순풍을 받아 풍하로 범주할 때 추가로 사용하는 세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각부의 명칭은 메인세일과 동일하다.  

세일의 각부 명칭. 체육진흥공단

세일을 고정하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마스트와 붐이다. 마스트와 붐의 재료는 초기에 목재를 주로 사용했지만 20세기 초 이후 합금술의 발달로 속이 빈 금속제 마스트와 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형 요트에도 경금속 합금 마스트를 사용하고 있다. 마스트와 붐의 장점은 가볍고 두께가 작아 풍향의 저항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기상 상태에 따라 마스트의 휨을 조절해 세일의 형태를 이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스탠딩 리깅은 일반적으로 마스트를 지지해 주는데 필요한 와이어를 말하며 마스트를 튼튼하게 지지해주는 작은 막대기도 포함한다. 1인승의 캣 요트는 마스트를 지지해 주는 와이어가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스탠딩 리깅은 캣 리그 보트 보다 큰 요트들에게 필요하며 스탠 와이어가 주로 사용된다. 

통영=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