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의대 증원 중단·의정협의체 구성
공공의대 추진 중단…코로나19 진정 후 모든 가능성 열고 협의
의협, 집단휴진 중단…진료현장에 복귀 결정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의·정이 공동으로 합의문을 작성해 발표하면서 집단휴진은 결국 종지부를 찍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우측)과 최대집 의사협회장(좌측)의 합의 서명 전 모습/제공=연합뉴스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코로나19라는 공중보건위기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서로 힘을 합해 총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보건의료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바탕으로 지역의료, 필수의료, 의학교육 및 전공의 수련체계의 발전과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4일 공동으로 합의문을 작성, 발표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그간 국민들께 걱정과 불편을 끼쳐드려 진심으로 송구스럽다며, 코로나19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고 대화와 협의의 장으로 들어오기로 한 의협의 결정을 환영하며, 정부도 성실히 협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합의에 따라 의협은 집단휴진을 중단하고 진료현장에 복귀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의사국가시험 응시를 취소했던 의대생들은 시험을 재접수해 응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향후 복지부와 의협은 보건의료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을 함께 마련하기 위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날 발표한 합의문에서 의·정은 △의대정원 확대, 공공의대 신설 추진을 중단하고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의정협의체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의협과 협의한다 이 경우 의협과 더불어 민주당의 정책협약에 따라 구성되는 국회 내 협의체의 논의 결과를 존중한다. 또한 의대정원 통보 등 일방적 정책 추진을 강행하지 않는다

△의·정은 지역수가 등 지역의료지원책 개발, 필수의료 육성 및 지원, 전공의 수련환경의 실질적 개선, 건정심 구조개선 논의,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등 주요 의료 현안을 의제로 하는 의정협의체를 구성한다. 복지부는 협의체의 논의 결과를 보건의료발전계획에 적극 반영하고 실행한다

△의·정은 의협이 제기하는 4대 정책의 발전적 방안에 대해 협의체에서 논의한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의정은 긴밀하게 상호 공조하며 특히 의료인 보호와 의료기관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 △의협은 집단행동을 중단하고 진료 현장에 복귀한다 등 5가지에 합의키로 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