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로 역세권 청년주택_BIM 모델링 화면. /롯데건설 제공

[한스경제=황보준엽 기자] 롯데건설이 3D 프린터를 활용해 건설 현장에 ‘디지털목업(Digital Mock-Up·실물 모형)’ 적용 연구를 수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건설정보모델링) 데이터를 3차원의 실물 모형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시각화를 통해 시공성 검토를 구현하고, 제작 기간단축 및 비용 원가절감이 용이해지는 기술이다.

3D프린팅 기술은 잉크 대신 플라스틱, 나일론, 금속 등의 재료를 사용해 정밀도를 높인 비정형의 모형까지 출력 가능하다. 

디지털목업은 실제제품 만들기 전의 실물크기나 축적을 적용해 제작한 모형을 뜻한다. 제품 생산현장에서 CAD와 CAM 등을 이용해 모델링 한 후 컴퓨터 출력장치 등을 통해 3차원적 분석을 하고, 시제품 생산과 평가 절차를 줄여 제품 개발 기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롯데건설 실험 결과 기존에는 4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됐던 모형 제작 기간 50% 이상 단축됐고, 모형 제작 비용도 80% 이상 절감됐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현장의 사전 시공성을 효율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3D프린터를 도입해 디지털 목업을 비롯해 다양한 연구에 적용하고 있다”며 “시공 난이도가 높은 현장에 디지털 시각화를 적용해서 효과적인 시공성 검토를 거쳐 롯데건설의 역량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보준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