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업체 88.7% 전년 상반기 대비 매출 감소…12.1% 절반 이상 감소 전망
내수·비제조업보다 수출·제조업이, 제조업종별로 자동차부품이 매출감소폭 커

[한스경제=변진성 기자] 경남 창원지역 기업 대부분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상공회의소는 지난달 11일부터 30일까지 15일 간 창원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창원기업 코로나19 영향과 정부 지원제도 만족도' 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에 응답한 기업 가운데 84.5%는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5%는 현재는 없으나 예상된다고 답했다. 설문에는 모두 168개 지역업체가 답했다.
실제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원청업체 생산감소'(22.3%)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수출지연 및 취소'(14.1%), '운영자금 부족'(9.9%), '대금회수 지연'(8.8%), '근로자 출입국 애로'(8.0%), '투자위축 및 중단'(7.6%), '부품수급 애로'(6.9%), '해외공장 가동중단'(5.3%), '채용 위축 및 중단'(4.8%), '통관 등 물류애로'(4.4%), '재고창고 부족'(2.5%), '수입가격 등 원가상승'(2.3%), '방역물품 부족'(1.9%) 순으로 기업 생산과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가장 많이 꼽았다.
특히 수출 또는 원청업체의 수요 감소는 후방 협력관계에 있는 산업 및 기업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이후 1차 협력업체의 수주차질로 이어지고, 이는 곧 2차, 3차 협력업체로 확산되기 때문이다.
실제 현 시점 이후 예상되는 코로나19의 영향을 묻는 질문에도 '원청업체 생산감소'(18.8%)와 '수출지연 및 취소'(14.1%)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투자위축 및 중단'(9.7%), '부품수급 애로'(8.0%), '채용 위축 및 중단'(7.2%) 순이었다.
현재와 향후 예상 요인을 비교했을 때 응답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요인은 '운영자금 부족'(+16.1%p)과 '투자위축 및 중단'(+13.1%p), '채용위축 및 중단'(+11.9%p), '수출지연 및 취소'(+10.1%p), '부품수급 애로'(+8.9%p), '수입가격 등 원가 상승'(+8.3%p) 등 이었다.
창원상의는 매출과 유동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누적되면서 운영자금 부족에 따른 투자와 채용의 위축이 가시화 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부품수급 애로와 수입가격 등 원가상승으로 인한 생산차질은 물론 채산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상반기 매출도 대부분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 대비 올해 상반기 매출수준을 묻는 질문에 응답업체의 88.7%가 '매출 감소'를 답했고, '매출 증가'는 3.0%에 그쳤다.
매출감소를 전망하는 응답업체(149개 사) 중 '10% 미만 감소'가 9.4%, '10% 이상 20% 미만 감소' 22.8%, '20% 이상 30% 미만 감소' 24.8%, '30% 이상 40% 미만 감소' 23.5%, ‘40% 이상 50% 미만 감소' 7.4%, '50% 이상 감소' 12.1%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기업 보다는 수출기업이, 비제조업 보다는 제조업의 매출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내수기업의 매출감소 응답업체 중 20% 이상을 답한 업체가 전체 63.2%였고, 이 중 5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답한 업체도 8.5%다. 하지만, 수출업체의 경우 79.1%가 20% 이상 감소로 답했고, 50% 이상 감소로 답한 업체도 20.9%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업종별로 매출 20% 이상 감소를 예상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자동차 부품'업종이 82.4%로 가장 높았고, '전기장비' 76.5%, '1차금속' 60.0%, '기타운송장비' 55.6%, '금속가공' 52.6%, '기계장비' 48.6%, '비제조업' 47.1%로 나타났다.
코로나19를 비롯한 현재의 경제위기에 대응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거나 예정인 비상경영 대책을 묻는 질문에는 '일상경비 축소'가 40.7%로 가장 많았고, '휴업 또는 일부라인 축소' 28.9%, '인력 구조조정' 11.2%, '임금축소' 9.0%, '사업구조 조정(자산매각 등)' 8.4%, '기타' 1.9% 순으로 응답했다.
지역 기업 다수가 생산능력과 규모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비상경영을 우선적으로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기업 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력 구조조정이나 사업구조 조정 등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코로나19를 비롯한 현재의 경제위기에 가장 시급한 지원방안을 묻는 질문에 '운영자금 등 금융지원 확대'를 33.1%가 꼽아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세금감면 및 납부유예' 23.6%, '고용유지지원 확대' 16.5%, 'SOC 확충 등 대규모 재정정책' 9.5%, '소비촉진 유도' 8.3%, '해외 비즈니스 재개 지원' 4.5%, '채용 및 투자촉진 유도' 3.7% 순으로 답했다.
코로나19 정부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창원상의는 코로나19 확산과 더불어 부각되고 있는 정부의 기업지원제도 중 고용유지지원금, 긴급경영안정, 특례보증 지원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만족도(지원 규모, 대상, 속도)를 조사한 결과, 항목별, 업체 특성별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보통 이상(2.5점, 5점 만점)을 나타냈다.
단 지원의 규모와 대상, 속도 면에서 지원제도별·기업특성별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타 지원제도와 달리 대규모 사업장에도 지원이 가능한 고용유지지원금은 지원 규모에 있어서는 '300인 이상' 기업에서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으나, 나머지 지원제도에서는 낮은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실제로 코로나19 관련 기업지원 대책이 불만족스럽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업체의 24.1%가 '협소한 지원 조건 및 대상'을 꼽았고, 다음으로 '실질적인 지원 속도' 20.1%, '복잡한 지원 절차' 18.5%, '불명확한 지원 기준' 14.9%, '부족한 지원 규모' 12.4%, '지원제도 홍보 부족' 7.6%, '기타' 2.4% 순이었다.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제도의 경우 지원규모 만족도(5점 만점)는 '2.70', 지원대상 '2.74', 지원속도 '2.77'을 나타냈다. 규모별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지원규모 '2.94', 지원대상 '3.11', 지원속도 '3.00'으로, 300인 미만 기업은 지원규모 '2.65', 지원대상 '2.65', 지원속도 '2.72'로 조사됐다.
타 지원제도와 달리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는 규모와 상관없이 지원되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용규모가 크면 클수록 고용유지의 부담이 큰데 따른 것이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의 만족도가 제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제도의 경우 지원규모는 '2.65', 지원대상 '2.64', 지원속도 '2.77'을 나타냈다. 규모별로 근로자 300인 이상 기업의 경우, 지원규모 '2.36', 지원대상 '2.50', 지원속도 '2.33'로 만족도 보통 이하로 조사됐다.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대체로 보통 이상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종이 제조업종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특히 비제조업의 경우 지원규모(3.11)와 지원대상(3.12), 지원속도(3.06) 모두 3점 이상의 만족도로 조사됐다.
현재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활용하는데 있어 작은 규모의 기업과 비제조업이 활용만족도가 높은 것은, 긴급안정자금의 지원 대상이 비제조업 및 소규모기업에 집중된데 따른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제조업이며,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지원되는 경영안정자금이 수급기업의 안정자금으로 기능하기에 부족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으로 내다봤다.
특례보증 지원제도의 만족도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제도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수요부족과 생산차질, 물류와 부품수급 애로 등 산업활동 전방위로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규모와 형태와 무관하게 일어나고 있다"면서 "이에 따른 기업지원책을 이제는 타산업의 연관효과가 크고 코로나19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고 있는 제조업과 중견기업 이상의 사업장에도 집중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변진성 기자 gmc0503@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