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3분기 기업경영분석’ 통계에 따르면 지난 7~9월 국내 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4.8%로 집계됐다.
3분기 국내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7.6%보다 2.8%p 하락했다. 또 전분기 5.2%와 비교해도 0.4%p가 떨어졌다.
영업이익률 하락을 이끈 것은 제조업이다. 지난해 3분기 9.7%였던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올해 3분기 4.5%를 기록해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보였다.
제조업의 부진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격화와 반도체 경기 침체가 영향을 끼쳤다.
한은은 올해 3분기 반도체 수출 물가지수(원화 기준)가 전년 대비 32.0%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반면 비제조업은 올해 3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5.1%로 전년 동기 4.4%에 비해 오히려 상승했다. 비약품 수출이 증가하고 유류 판매업체의 수익성이 개선된 탓이다.
다른 수익성 지표 중 하나인 매출액 대비 세전이익률도 올해 3분기 4.9%로 조사돼 전년 동기 7.2%, 전분기 5.3%보다 나빠졌다.
국내 기업은 성장성에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분기 국내 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 줄었다. 지난 1분기(-2.4%), 2분기(-1.1%)보다 축소 규모가 확대됐다.
반도체 부진과 미·중 무역분쟁 외에도 유가 하락으로 석유화학제품의 수출액이 줄어드는 등 전반적인 교역량이 줄어든 게 매출 하락에 영향을 줬다.
지난 3분기 수출과 수입을 합한 무역액은 전년 동기 대비 8.5% 감소했다. 같은 기간 총자산은 1.1% 늘어나는 데 그쳤으며 증가율은 지난 2분기 0.2%보다는 높았지만 지난해 3분기 2.0%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부채비율과 차입금 의존도는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자기자본 대비 부채를 가리키는 부채비율은 83.5%로 전분기와 비슷했다. 총자산에서 차입금과 회사채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차입금 의존도는 3분기 24.2%로 전분기 24.1%와 유사했다.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올해 3분기 427.31%로 전년 동기 813.96%보다 감소했다.
이번 3분기 기업경영 실적은 한은이 상장기업 1799개사 공시자료 외에 비상장 외부감사대상 기업을 상대로 한 표본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됐다. 표본설문조사에는 조사표본 1965개사 중 1603개사가 응답했다.
조사대상 모집단은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법인기업 중 금융·보험업, 교육서비스업, 공공부문 등을 제외한 1만9884개사다.
김형일 기자 ktripod4@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