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차 부산공장/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강한빛 기자] 르노삼성차가 노조 집행부의 전면파업 선언에도 불구하고 조합원 절반 이상이 출근하며 점차 파업 동력이 사그라드는 분위기다.

강경 투쟁을 고집하는 노조 집행부와 무리한 파업을 거부하는 일반 조합원 사이에 ‘노-노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파업참여율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7일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노조 전면파업 선언 이후 첫 번째 근무일일 7일 오전 8시 현재 전체 근무 인원의 66%가 출근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라인 정비 등 작업을 마무리하는 대로 이르면 이날 오전 중으로 생산라인을 가동할 계획이다.

앞서 르노삼성자동차 노동조합은 5일 무기한 전면 파업에 들어갔다. 노조는 앞선 3일 재협상을 위한 실무 협의를 마련해 5일 임금 및 단체협상을 두고 사측과 실무급 축소 교섭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해 이날 오후 5시 45분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가기로 했다.

작년 6월부터 1년간 노사가 교섭한 이래 전면파업은 처음이다. 특히나 르노삼성 노조는 1995년 전신인 삼성자동차가 설립된 이후 한 번도 전면 파업에 나선 적이 없다.

하지만 르노삼성 노조가 전면 파업이라는 강수를 내세웠지만 지난 5일 오후 900여명의 야간 근무 인원 가운데 300여 명이 현장에 남아 생산라인을 계속 가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휴일인 6일에도 엔진 공장 근로자 67명은 특근을 자처했다. 당초 예정됐던 엔진 공정 특근 근무자는 69명으로 2명을 제외해 대부분이 출근을 했다.

업계는 노조의 전면파업 선언에도 절반 이상 조합원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것은 자동차 노조 특성상 유례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공정별로 출근한 근로자의 편차가 커 근무 인원 조정 등 준비 작업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전체 근무 인원의 66%가 정상 출근을 하며 사실상 노조의 전면파업 지침이 무력화되고 있다.

특히 앞서 6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노사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임단협 재협상 협의에 들어갔으나 노조가 무노동 무임금에 해당하는 파업 기간의 임금을 100% 보전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협의가 난관에 부딪혔다.

노조는 조합원과 비조합원 간의 타결금 차등 지급과 파업 참가 횟수에 따른 조합원 간 타결금 차등 지급 등도 요구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에 르노삼성 관계자는 "전면파업 선언에도 전체 근무인원의 66%가 정상 근무를 진행한 것은 전면 파업에 반대한다는 목소리가 66% 달한다는 소리로 볼 수 있다 "며 “이는 노조집행부가 노조원들과 소통을 제대로 못하고 있고 공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더불어 "조합원, 비노조원들과의 차별, 특히 파업 참여자와 미참여자들 간의 차별 등은 무노동 무임금을 원칙으로 하는 법에도 어긋나고 비조합원과의 형평성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편 르노삼성 노조는 2018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과 관련해 지난해 6월부터 협상을 시작했다. 노조는 같은 해 10월부터 약 7개월간 250시간(62차례) 부분 파업을 벌였다.

강한빛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