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서연 기자] 정치후원금을 쓰고 국회사무처와 선거관리위원회에 같은 영수증을 중복으로 제출해 예산을 타 낸 국회의원 26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한 장의 영수증으로 정치자금 계좌와 국회예산에서 돈을 타낸 것이다. 26명 국회의원들의 영수증 제출 명목은 의정보고서 제작, 문자발송비, 우편요금 등으로 다양했다.
시민단체인 세금도둑잡아라와 좋은예산센터,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탐사보도 전문매체 뉴스타파는 4일 오전 서울 중구 성공회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수증 이중제출로 국민 세금을 빼 쓴 국회의원 26명의 명단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영수증 이중제출 국회의원 명단에는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인 홍영표 의원(1936만원), 민주당 기동민(1617만원)·유동수(1551만원)·우원식(1250만원)·이원욱(1085만원)·변재일(955만원)·김태년(729만원)·금태섭(527만원)·손혜원(471만원)·유은혜(352만원)·김병기(300만원)·김현권(147만원)·박용진(100만원)·임종성(14만원) 의원 등이 포함됐다.
자유한국당 전희경(1300만원)·김석기(857만원)·안상수(537만원)·이은권(443만원)·최교일(365만원)·김재경(330만원)·이종구(212만원)·김정훈(130만원)·곽대훈(40만원) 의원도 이름을 올렸다.
바른미래당 오신환(310만원) 의원, 민주평화당 김광수(256만원) 의원, 민중당 김종훈(169만원) 의원도 포함됐다.
이번에 적발된 26명의 국회의원 가운데 23명은 영수증 이중제출로 받은 돈을 반납했거나 반납 의사를 밝혔다고 이들 단체는 전했다.
다만 전희경·금태섭 의원은 ‘선관위 유권 해석에 따라 반납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안상수 의원은 ‘문제 될 것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전 의원은 영상제작비 명목으로 돈을 청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승수 세금도둑잡아라 대표는 “전 의원의 경우 지난해 12월 영상제작비 명목으로 정치자금 계좌에서 두 번에 걸쳐서 400만원, 600만원 총 1000만원이 지출됐는데 국회예산에 또 청구서를 내서 영상제작 명목으로 1000만원을 또 받았다”며 “정치자금인 공적 자금과 국회예산인 국민세금 양쪽에서 한 장의 영수증으로 이중 돈이 지출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하승수 세금도둑잡아라 대표는 영수증 이중제출이 국회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진 부패행위라고 진단했다. 18·19대 국회까지 조사하면 규모는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는 “의원들에게 질의서를 보내고 답변을 요구했을 때 23명 국회의원은 반납했거나 반납 중인데 이들은 대체로 ‘본인은 몰랐다, 보좌진 착오다, 실수다’는 식의 변명을 했다”면서 “규모로 봤을 때 상당히 국회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져왔던 부패 행위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서연 기자 brainysy@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