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영업이익률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3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6.1%로 집계됐다. 전년(5.4%)대비 0.7%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개편한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의 능률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동시에 매출액경상이익률과 함께 수익성을 분석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지난해 기업들의 수익성이 좋아진 데에는 반도체의 호황이 큰 영향을 끼쳤다. 지난해 반도체 가격과 수출액은 대폭 증가했다. 범용 D램 제품 평균 가격은 3.77달러로 전년 대비 90.4%가 상승했다. 지난해 반도체 수출액 역시 979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57.4% 증가했다.
이로 인해 반도체가 포함된 기계·전기전자 부문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전년(5.8%) 대비 5.9%포인트 상승한 11.7%를 기록했다.
다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기업들의 수익률은 전년보다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에서 기계·전기전자(11.7%) 실적을 빼면 5.5%(전년 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전체 이익률도 반도체를 빼면 6.1%에서 5.1%(전년 5.4%)로 내려간다.
일부에선 반도체 호황이 꺼지면 경제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투자 침체, 소비 둔화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중 무역갈등, 유로존 경기불안 등 글로벌 악재들까지 겹치면서 반도체 경기마저 꺾인다면 과거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이 충격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상위 30대 기업의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4.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1.2%, 투자는 34.4% 늘었다.
수치만 놓고 보면 국내 기업들은 호황을 누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반도체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을 제외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매출은 0.7% 증가에 그쳤고, 영업이익과 투자는 각각 16.3%, 20% 이상씩 줄었다.
이성노 기자 sungro5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