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김솔이 기자] 미국 재무부가 15일(현지시간) 환율보고서를 발표한다. 시장은 이번 보고서에서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재무부와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에게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라고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경우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중 무역분쟁이 환율전쟁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증시는 그동안 미·중 갈등에 민감하게 반응한 만큼 환율조작국 지정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특히 중국 관련 소비주·수출주의 하락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환율보고서 발표가 임박할수록 중국이 환율조작국에 지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만한 근거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11일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재무부 관리는 므누신 장관에게 중국을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보고했다. 므누신 장관이 관련 부서의 이 의견을 받아들인다면 미·중 간 갈등이 완화되는 신호로 해석될 전망이다. 이에 국내 증시 역시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다.
김솔이 기자 celina@sporbiz.co.kr
김솔이 기자
celina@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