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김지영 기자]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허가를 받은 다수 고혈압치료제에 발암물질 함유 중국산 원료가 사용된 사태에 대해 식약처장 문책과 약가제도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의협은 9일 보도자료를 통해 “고혈압 환자가 600만명을 상회하는 가운데, 이번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는 환자”라며 “식약처 인허가에 따라 해당 의약품을 믿고 처방한 의사들 또한 분노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약처가 발암 유발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추정돼 판매 중지한 고혈압 치료제 219개(82개사)를 지난 7일부터 점검한 결과, 104개 제품(46개사)이 해당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제품의 판매 및 제조중지를 9일 해제했다.
이에 의협은 현행 약가 제도와 생동성 검사 등을 문제 삼고 “(식약처가) 복제약에 터무니없이 높은 약가를 책정해주니 제약사들은 연구, 개발에 대한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이라며 “잘못된 약가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앞으로 이 같은 일은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지금 시행되는 생동성 검사는 오리지널 약 대비 효능 80~125% 범위 내면 통과한다“며 ”심지어 생동성 검사가 조작됐거나 검사 없이 판매 허가된 이력이 있는 의약품들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약효가 환자 상황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의사 처방약을 임의로 대체 조제하는 것은 국민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며 ”임의 대체조제는 엄격하게 금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생동성 시험 통과한 복제약에 대한 재검증 △외국에 비해 높은 복제약가 개선 등을 언급했다.
의협은 “고혈압 환자는 복용 중인 약을 의사에게 확인받을 것을 권고한다”며 “협회는 단 한명의 환자도 발암물질이 함유된 고혈압약을 복용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jiyoung91@spor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