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당뇨병 치료제 인슐린은 췌장암 발생 위험 높여
고려대 안암병원 서지아 교수, 췌장암 환자 약 9000명 분석 결과

[한스경제 홍성익 기자] 당뇨병이 있으면 췌장암 발생 위험이 두 배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당뇨병 치료제 중 설폰유리아·인슐린은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데 반해 메트포민·티아졸리딘디온·DPP-4억제제는 췌장암 발생 위험을 오히려 낮추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고려대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서지아 교수팀이 2015년까지 국가암등록사업에 참여한 췌장암 환자 8589명을 상대로 당뇨병과 췌장암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파악됐다.

분석 결과,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일반인 397만9394명 중 5673명이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발생률 0.36%). 당뇨병 환자는 96만6492명 중 2916명이 췌장암(발생률 0.78%)에 걸렸다.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발생률이 일반인의 두 배 이상 높은 셈이다.

특히, 당뇨병 치료제를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는 췌장암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메트포민·티아졸리딘디온·DPP-4억제제 계통의 당뇨병 치료제는 장래의 췌장암 발생위험을 각각 14%·18%·43% 낮췄다. 설폰유리아·인슐린은 반대로 당뇨병 치료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대비해 췌장암 발생위험을 각각 1.7배·2.9배 높였다

서지아 교수팀은 “메트포민과 티아졸리딘디온, 메트포민과 DPP-4억제제를 함께 복용 중인 환자의 췌장암 발생위험은 메트포민만 단독으로 복용 중인 환자보다 더 낮아졌다”며, “당뇨병은 췌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지만 치료제를 바꾸면 췌장암 발생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췌장암 발생 위험에서 당뇨병과 당뇨병 치료제의 영향: 한국 전체의 인구 기반 연구’)는 권위 있는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실렸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