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최형호] 한국지엠(GM) 창원공장 생산 모델이 극심한 판매 부진에 빠지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군산공장에 이어 위기에 빠진 모양새다.

이달 초로 예정된 본사 제너럴모터스(GM)의 신차 배정 과정에서 기존 스파크 등을 대신할 경쟁력 있는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다목적차량·CUV)를 받지 못하면, 군산과 마찬가지로 창원공장의 생존 가능성도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업계 관측이다.

한국지엠(GM) 창원공장 생산 모델이 극심한 판매 부진에 빠지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어 군산공장에 이어 위기에 빠진 모습이다. 사진제공-연합뉴스.

5일 업계와 한국GM 등에 따르면 현재 창원공장에서 생산되는 모델은 경차 스파크, 경상용차 다마스·라보 정도다.

이들 3개 모델의 연도별 판매량(내수+수출)은 ▲ 2013년 25만대 ▲ 2014년 19만대 ▲ 2015년 22만대 ▲ 2016년 21만대 ▲ 2017년 15만대로 집계됐다. 4년 사이 판매 실적이 25만대에서 15만대로 무려 40%나 감소한 것이다.

창원 공장 외 다른 공장 상황을 보면, 부평공장(1·2공장)이 생산하는 아베오·트랙스·말리부·캡티바 등 생산 모델 총 판매량은 지난해 34만대로 2013년 38만대보다 10% 줄긴 했지만, 감소율이 창원공장(40%)보다는 훨씬 낮다.

한국GM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창원공장에는 현재 약 2,000명의 직원이 일하고, 시간당 약 60대의 차량을 생산한다. 공장 가동률은 약 70% 수준이다.

한편 군산 공장은 크루즈·올란도 등 생산 모델의 판매 실적이 2013년 15만대에서 지난해 3만대로 80%나 급감해 결국 공장 문을 닫았다.

최형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