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지호]한국지엠(GM)이 해마다 대규모 적자를 지속하다 지난해 적자 9,0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1일 금융위원회와 국회 정무위원회에 따르면 한국GM은 지난해 말 기준 당기순손실 9,000억원, 영업손실 8,000억원의 실적추정치를 금융위와 KDB산업은행에 제출했다. 2014년부터 4년간 누적적자가 3조원에 달하면서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GM이 제시한 수치는 추정치다. 비상장사인 GM은 통상 4월 중 감사보고서를 통해 확정 실적을 공표해왔다. 

GM은 2014년 3,534억원 순손실을 낸 이후 2015년 9,868억원, 2016년 6,315억원에 이어 4년 연속 대규모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손실 규모는 2015년보다는 다소 줄어든 수준이지만 2016년에 비해선 확대된 규모다. 4년간 손실 규모를 합하면 3조원에 육박한다. 

이처럼 손실 규모가 커지면서 한국GM은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자본잠식 상태로 들어섰다. 부채비율은 2014년말 435%에서 2015년 1천62%, 2016년말 8만4,980%로 폭증한 바 있다. 

지난해 영업손실 추정치는 지난해 8,000억원으로 유례없는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GM은 2014년 -1천,86억원으로 처음 영업손실을 낸 이후 2015년 -5,944억원, 2016년 -5,312억원 등 손실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왔다. 

지난해 매출 추정치는 10조7,000억원이다. 이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9조5,325억원)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정부와 산은은 한국GM이 이처럼 부실화된 첫번째 원인으로 GM본사의 글로벌 전략 수정을 꼽았다. 

GM이 중국과 북미 위주로 시장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유럽과 인도,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등 주요 시장에서 줄줄이 철수했고, 계열사 오펠 등을 매각하면서 한국GM의 수출 판로가 없어졌다. 

특히 2013년 쉐보레 브랜드를 유럽시장에서 철수시킨 것은 한국GM에 직접적인 타격을 줬다. 

한국GM의 대(對) 유럽 수출 물량은 2012년 13만7,750대에 달했지만 2013년 6만1,954대, 2014년 1만2,419대, 2015년 5,923대, 2016년 1,752대, 지난해 205대로 줄었다. 

한국에서 주로 생산하던 중소형자 모델 비중을 줄이고 대형SUV나 픽업 등 고수익 차종에 집중한 것도 한국GM의 쇠락을 이끈 직접 원인으로 꼽았다. 

GM의 불투명한 경영 방식도 부실화의 원인이 된 것으로 정부·산은은 추정하고 있다. 

2016년 기준 한국GM의 매출원가율은 93.1%로 현대차(81.1%), 기아차(80.2%), 르노차(80.1%), 쌍용차(83.7%)와 상당한 격차가 있다. 

바른미래당 지상욱 의원이 제시한 GM 북미 지사의 매출원가율 84.0%, GM 자동차 부문의 전체 매출원가율 86.9%와 비교해봐도 높다. 

정부·산은은 한국GM의 매출 원가율이 이처럼 높은 이유로 GM 본사로부터의 높은 차입이자율(4.8%~5.3%)과 연구개발(R&D) 비용 및 이전 가격 등 불명확한 업무지원비 부담을 꼽았다. 

현재 정부는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 ▲모든 이해관계자의 책임있는 역할 수행 ▲장기적으로 생존 가능한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 등 '3대 원칙' 하에 GM 사태에 대해 공동 대응하고 있다.

지난 22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은행 등과 GM 측이 면담을 통해 재무 실사에 합의한 뒤 삼일회계법인을 실사 기관으로 선정했다. 현재 산은과 GM 측이 실사를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이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