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임서아] 세탁기 수출액이 지난 5년간 반으로 뚝 떨어졌다. 특히 미국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발동으로 인해 수출 호조세를 보였던 미국에서도 하락세가 예상된다. 

세탁기 수출액이 지난 5년간 반으로 뚝 떨어졌다. 미국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발동으로 인해 수출 호조세를 보였던 미국에서도 하락세가 예상된다./연합뉴스?

30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세탁기 수출액은 1억1,860만 달러로 전년(1억2,316만 달러)보다 456만 달러 감소했다. 세탁기 수출액은 2009년 3억9,240만 달러에서 8년째 계속 줄어들고 있다. 수출액은 2012년 2억959만 달러를 끝으로 5년 뒤인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탁기 수출 감소세는 스페인, 그리스 등 유럽뿐만 아니라 이란, 카타르, 인도네시아 등 중동·동남아 등에서 전방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세탁기 수출액이 매년 감소 폭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세탁기 수출 1위 국가인 미국의 수출이 호조세를 보인 덕분이다.

세탁기의 미국 수출 규모는 2005년 1억1,917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을 거듭해 2015년 616만 달러까지 줄었다. 이후 2016년 2,340만 달러, 지난해 4,302만 달러 등 다시 과거 수출 규모를 회복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지난 22일(현지시간) 한국 세탁기에 대해 세이프가드를 발동하면서 상황은 반전될 것으로 보인다. 세이프가드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해 자국 업체에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수입품에 대해 규제할 수 있는 일종의 무역장벽이다.

미국 정부는 TRQ(저율관세할당) 기준을 120만대로 설정하고 첫해에는 120만대 이하 물량에 대해선 20%, 이를 초과하는 물량에는 50%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했다.

감소세를 보이는 세탁기 수출과 달리 수입액은 해외 공장이전, 저가 중국산 제품 등 영향으로 빠르게 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세탁기 수입액은 5,015만 달러를 기록, 전년(3,568만 달러)보다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서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