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재웅] 올해 자동차 리콜 대수가 200만대를 넘어섰다. 복잡해진 자동차 설계와 까다로운 소비자·정부의 합작품이라는 평가다.

7일 교통안전공단 산하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해 12월 7일 기준 국내 리콜 차량은 총 204만4,127대였다. 1992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다다.

생산지별로는 국산차가 68종 166만6,277대, 수입차가 719종 37만7,850대다.

연도별 자동차 리콜현황. 자동차 리콜센터 캡처

국산차 중에서는 현대기아자동차가 가장 많았다. 세타2 엔진, 트레일링암, DPF 손상 가능성 등 대형 이슈가 발생하면서 약 123만대에 대한 리콜을 실시하게 됐다. 전체의 60%나 된다.

다만 현대기아차가 단독으로 리콜 대수를 늘린 것은 아니다. 현대기아차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약 70% 수준이다. 올해에도 11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111만626대, 전체(153만9,841대)의 72%다.

배출가스 조작 사태를 일으킨 아우디 폭스바겐은 전체 수입차 리콜 대수의 절반에 달하는 15만4,991대를 리콜하게 됐다. 이중 배출가스 조작으로 인한 대상 차량이 10만9,297대다.

그 밖에 브랜드들도 대부분 리콜 대상 차량을 적지 않게 늘렸다.

최근 들어 리콜 대수는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연 평균 26만3,957대였던 것이, 2010~2014년에는 연 58만5,455대로 두배가 많아졌다. 2015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는 벌써 연 평균 86만6,750대를 기록중이다. 10년만에 3배에 가까운 증가율이다.

자동차 증가율보다도 가파르다.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007년 1,642만8,177대에서 2016년 2,180만3,351대로 늘었다. 32.7% 밖에 안된다.

리콜 대상 차량이 계속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동차에 전자식 부품 쓰임이 늘었기 때문이다. 리콜 현황을 보면 ECU 조치를 요구하는 경우가 약 40만대에 달한다. 이 중 배출가스 조작을 제외해도 약30만대. 전체 리콜 조치 중 15% 가량이 소프트웨어 문제다.

소비자들이 리콜을 요구하는 경우도 급증했다. 온라인을 이용한 동호회나 카페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오류를 공유하고 사실이 확인되면 공동 대응에 나서게된 것이다.

정부의 기준도 다소 까다로워졌다는 평가다. 전문성을 높인 소비자들이 늘어난 까닭이다. 작년 아우디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에 전자장비 비율이 늘어나면서 리콜 증가는 불가피하다"며 "하지만 소비자들과 정부가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면서 실제 결함 발생률 보다 리콜 증가율이 더 크게 비춰지는 경향도 있다"고 말했다.

김재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