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지호]북한의 6차 핵실험 강행에 대에 국제사회가 제재 조치에 나섰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의장국인 필리핀이 8일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력한 경제 제재 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북한과의 교역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알란 카예타노 필리핀 외무장관은 이날 기자들에게 "필리핀은 경제 제재를 포함한 대북 안보리 결의를 전면 이행할 것"이라며 즉각적인 교역 중단 실행을 강조했다고 현지 GMA 방송과 외신들이 보도했다.

필리핀은 북한의 4∼5위 교역 상대국이다. 지난해 필리핀의 대북 수출액은 2,880만 달러(326억원), 수입액은 1,610만 달러(183억원)다.

필리핀의 대북 수출품 가운데 집적회로 기판과 컴퓨터 등이 60%가량을 차지한다. 이들 품목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에 쓰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카예타노 장관은 "대통령궁으로부터 안보리 결의 지지 지시를 받았다"며 "필리핀은 한반도 비핵화를 원하는 데 있어 세계와 하나"라고 말했다.

필리핀의 이런 조치는 미국이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과의 무역을 중단하는 '세컨더리 보이콧'을 검토하는 것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필리핀은 이달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 "지역 평화와 안정을 훼손하는 도발 행위"라고 규탄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대화 테이블에 복귀할 것을 북한에 촉구했다.

앞서 멕시코 정부도 7일(현지시간) "외교부가 김형길 북한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선언했으며, 그에게 72시간 내에 출국을 명령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해 영국, 덴마크 등 서방국가와 '혈맹'인 중국까지 자국 주재 북한 대사를 불러 항의했지만 대사를 추방키로 한 것은 멕시코가 처음이다.

멕시코 정부는 성명을 내고 "김형길 북한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외교적 기피인물)로 선언해 72시간 내에 출국하라고 요구했다"고 발표했다. 또 "정부는 한반도 지역과 전 세계에 중대한 위협을 주는 북한의 최근 핵 활동에 대해 절대적 거부 입장을 밝힌다"고 전했다.
 

김지호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