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소송 자료 유출한 법무법인 ‘로고스’에 5억2300만원 과징금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소송자료 약 1.6TB 규모 유출

2025-11-23     석주원 기자
송경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제23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 한스경제=석주원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지난 20일 제23회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 보호 법규를 위반한 법무법인(유) 로고스(이하 로고스)에 대해 5억2300만원의 과징금과 6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시정명령 및 공표명령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로고스가 내부 시스템에 보관 ·관리 중이던 소송 자료가 다크웹에 게시됨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진 사안으로 유출된 소송 자료에는 의뢰인을 비롯한 다수의 고유식별정보, 민감정보 등 개인정보가 포함됐다.

지난해 7~8월  해커는 로고스의 관리자 계정정보(아이디, 비밀번호)를 획득한 뒤 내부 인트라넷 시스템에 접속해 ‘사건 관리 리스트 웹페이지’에서 4만3892건의 사건관리 리스트(의뢰인명, 소송상대자, 사건명, 사건번호 등)를 내려받아 유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소송 자료가 저장된 디렉토리에서는 18만5047건(약 1.59TB 규모)의 소송 관련 문서를 내려받아 유출했다. 해당 문서는 소장, 판결문, 진술조서, 증거서류, 금융거래내역서, 범죄일람표, 신분증, 진단서, 통장 사본 등으로 문서에는 이름, 연락처, 주소,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범죄 정보, 건강에 관한 민감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다수 포함돼 있었다.

해커는 지난해 8~9월 로고스의 메일서버 등을 대상으로 랜섬웨어 악성코드를 삽입해 해당 서버 이용을 불가능하게 만들었으며 로고스는 관련 시스템을 새로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 결과 로고스는 내부 시스템에 대한 접속 권한을 IP 주소 등으로 제한하지 않는 등 개인정보 유출시도를 탐지·대응하기 위한 접근 통제 조치를 소홀히 했다. 외부에서 시스템 접속 시 안전한 인증수단 없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만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운영했고 웹페이지에 대한 취약점 점검·조치를 소홀히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을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했으며 보관 중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이나 구체적인 파기 기준도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로고스는 지난해 9월 5일경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경과한 올해 9월 29일경에서야 개인정보 유출 통지를 함으로써 2차 피해 우려를 키운 사실도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로고스의 위반사항을 매우 중대한 위반으로 판단하고 과징금 5억2300만 원과 과태료 600만원을 부과하고 위반사항에 대한 시정명령 및 처분받은 사실을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 공표할 것을 명령했다.

개인정보위는 로고스가 소송대리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대량으로 보관·관리하는 법률 서비스 제공자로서 보다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 체계를 갖추고 관련 법령을 준수하여야 함에도 다수의 안전조치의무를 위반해 대규모의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진 점을 지적했다.

유출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강화, 주요 개인정보 암호화 및 명확한 파기 지침 수립, 사고 대응 체계 정립 등 전반적인 개인정보 보호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할 것을 시정명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