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상수도 "시민불신 해소 촉구" 노후관·수질안전 전면 점검해야
건설교통위원회, 상수도사업본부 행정사무감사 실시 이물질 대응·싱크홀 대책·생활밀착형 서비스 등 종합 개선 요구
| 한스경제=권순광 기자 | 대구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11월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노후관 파열에 의한 싱크홀 대책, 수돗물 속 이물질 대응방안, 생활밀착형 상수도서비스 등을 세밀하게 점검하고, 대구 수돗물에 대한 시민불신 해소 대책 촉구와 지속적인 경영개선 노력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고 17일 밝혔다.
허시영 위원장(달서구2)은 수돗물 속 이물질 검출과 미확인 물질 발생 시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일반회계에서 미보전된 550여억 원의 기초생활수급자 수도요금 감면액 보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김정옥 위원(비례대표)은 상수도전용댐인 가창댐과 공산댐의 원수 수질 안전관리 대책을 점검하고, 댐 주변 주민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으며, 또한 상수도시설공사 계약 쪼개기 등 부적절한 분할발주 여부를 점검하고, 공정한 계약행정 추진을 당부했다.
김지만 위원(북구2)은 사용 연한이 경과돼 낡은 유해물질 수질검사 장비의 문제를 지적하고, 시급한 교체 대책을 주문했다. 또한 32년간 이어온 무료 급수관 누수탐사 서비스 실태를 점검하고, 수용가의 생활 여건에 맞는 서비스 기준 마련을 당부했다.
조경구 위원(수성구2)은 안전사고 발생이나 부실설계를 관리감독한 건설사업 관리 용역사의 제재방안 촉구와 함께 특허 제품 관급자재 구입, 여성기업 계약 우대 등 공사·물품·용역 계약 전반을 점검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수의계약 관리를 당부했다.
이동욱 위원(북구5)은 달서구와 서구 등에 편중된 노후 상수도관 누수 실태를 지적하고, 노후관 파열에 의한 상수도사업본부만의 싱크홀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또한 상수도정보시스템 통합유지보수 용역 등 정보통신시스템 용역의 입찰 방법, 유찰 사유 등을 점검하면서, 관내 역량 있는 ICT 업체들의 용역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도 함께 당부했다.
황순자 위원(달서구3)은 계획 대비 실적이 저조한 가정 내 노후수도관 교체지원사업과 옥상물탱크 철거 지원사업의 원인과 실태를 점검하고, 다양한 계층의 많은 수용가들이 생활밀착형 상수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했다.
임인환 위원(중구1)은 스마트 원격검침 구축사업의 추진 현황과 해당 사업의 핵심제품인 디지털 수도미터기 및 원격검침 단말기의 지역기업 구매내역을 점검하고, 사업의 효과가 상수도사업 경영개선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또한 상수도사업 경영개선을 위한 수입 증대방안과 함께 인력운영비 및 동력비 절감방안 등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