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회동 무산됐지만…정부, 더 적극적인 대북조치 ‘예고’

美에 ‘피스 메이커’ 역할 강조…‘북미대화 중요’ 中과도 공감 한미 연합군사훈련 일정 조정될지 관심

2025-11-02     신연수 기자
경주 APEC을 계기로 한 북미 정상 회동이 무산됐지만, 우리 정부는 더 적극적인 대북 선제 조치를 예고했다. /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제(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북미 정상 회동이 무산됐지만, 이재명 대통령은 더 적극적으로 대북 선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1일 APEC 정상회의 2차 세션을 마친 후 별도 발언을 자정해 “정부는 남북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해 왔다”며 “앞으로도 평화를 위한 대승적이고 적극적인 선제 조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대북 확성기 방송과 라디오 방송 중단 등 대북 적대 조치 중단을 거론하며, 앞으로도 추가 조치가 있을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노력은 북미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되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미국과 북한이 대화로 관계를 개선하면 남북 간 관계 개선도 길이 열린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피스 메이커’ 자신이 ‘페이스 메이커’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도 “북미 대화가 가장 중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전했다.

이제 정부는 2026년 4월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이 북미 대화의 계기가 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다방면으로 노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이 언급한 북미 대화의 여건을 조성하고 남북 신뢰 회복을 위한 선제 조치로 접경 지역 군사훈련 중단, 한미 연합군사훈련·전략자산 전개 조정 등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앞서 문재인 전 대통령은 2018년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한미연합훈련 연기를 제시했고 트럼프 대통령이 수용하며 대화 국면이 전개된 바 있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8월 시행된 ‘을지 자유의 방패’ 한미연합훈련에서 야외기동훈련 일부를 연기했는데, 내년 봄 연합훈련 때는 더욱 과감한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