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공청회
시민·전문가 의견 반영 대기질 개선 로드맵 수립 발전·산업·도로·생활 등 53개 세부대책 본격 추진
| 한스경제=신홍관 기자 | 인천시는 오는 23일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인천광역시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2025~2029)'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향후 5년간 인천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 전문가, 기업 등 각계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한 자리다.
인천연구원이 연구·수립 중인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안)'을 발표하고 인천대 박찬진 교수를 비롯해 서울시연구원, 경기연구원 전문가들이 참여한 지정토론을 진행한다. 시가 발표할 시행계획(안)은 발전·산업, 도로, 비도로, 생활 등 5개 부문 53개 세부대책으로 구성됐다.
시는 2029년까지 △미세먼지(PM10) 전망배출량(6192톤) 대비 9.8 감축 △초미세먼지(PM2.5) 전망배출량(2134톤) 대비 7% 감축 △질소산화물(NOx) 전망배출량(4만6289톤) 대비 16% 감축 △황산화물(SOx) 전망배출량(8917톤) 대비 36.7% 감축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전망배출량(5만905톤) 대비 3.2% 감축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사업장 총량관리제 확대 △무공해자동차 보급 확대 △노후 건설장비 조기폐차 △건설현장 비산먼지 저감 등 분야별 핵심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공청회에는 시, 군·구 관계 공무원, 기업체, 시민단체 등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할 예정이다. 시는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시행계획을 보완·발전시키고 12월까지 최종 시행계획을 확정한 뒤 환경부 승인을 거쳐 서울·경기와 연계한 수도권 대기환경관리를 본격 추진한다.
정승환 환경국장은 "인천은 수도권 대기환경 중요한 축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깨끗한 공기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시민과 전문가 다양한 의견을 반영한 실효성 높은 대기질 개선 로드맵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