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풍력·태양광 발전 확대로 ‘친환경 전환’ 가속화
유니슨과 풍력 발전단지 조성 MOU 체결 연내 석포제련소 인근에 풍황계측기 설치 환경조사 후 43MW 규모 풍력발전단지 구축
|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 영풍 석포제련소가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 확대하며 친환경 제련소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계속 오르고 있는 산업용 전기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풍력과 태양광을 아우르는 복합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축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성장과 ESG 경영 강화를 도모하는 취지다.
영풍은 유니슨과 풍력 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영풍 석포제련소가 위치한 경북 봉화군 산악지대가 풍력발전에 유리한 입지임을 적극 활용하는 전략적 조치다.
영풍은 유니슨이 축적한 풍력발전기 설계, 제조 및 운영 역량과 대규모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봉화지역 풍력 발전사업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영풍과 유니슨은 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을 위한 1단계로 석포제련소 인근 산악지역에 풍황계측기를 연말까지 설치하기로 했다. 올해 겨울부터 1년간 풍향 및 풍속 데이터를 취득·분석하고 사전 환경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단계적으로 4.3MW 풍력발전기 10기를 건설해 총 43MW 규모(연간 예상 발전량 약 8만2000MWh)의 풍력 발전단지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풍력발전과 더불어 태양광 발전을 위한 투자도 진행 중이다. 석포제련소에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공장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이다. 석포제련소 2공장과 3공장 사이의 총 면적 14만486㎡(약 4만2570평) 부지에 발전용량 약 4~5MW 규모(연간 예상 발전량 약 7000MWh)로 건설될 예정이다.
영풍의 이러한 풍력, 태양광발전소 건립 추진은 정부에서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체계 대전환과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동시에 영풍이 환경부 통합환경인허가 취득을 전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환경 분야 혁신 과제들의 연장선이란 설명이다.
영풍은 지난 2021년 세계 제련업계 최초로 폐수 무방류(ZLD·Zero Liquid Discharge) 시스템을 구축해 폐수를 전량 재활용하고 외부 유출 가능성을 원천 차단한 바 있다. 또 석포제련소 외곽 2.5km 전 구간에 지하수 확산 방지시설을 구축하고 하루 평균 450톤(우수기 하루 최대 1200톤)의 지하수를 뽑아 올려 정화 처리 후 공정에 재이용하고 있다.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산소공장 및 오존설비 신설 등 최근 수년간 4000억원이 넘는 투자를 단행하며 환경문제의 혁신적 해결을 위한 다양한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사업은 영풍의 친환경 경쟁력과 ESG 성과를 강화하는 동시에 국가 에너지 전환 정책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낳을 것이란 전망이다.
영풍 관계자는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조성 사업은 단순한 신재생에너지 확보 차원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의 환경 정책과 발맞춰 환경 친화적인 경영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기 위한 석포제련소의 장기적인 환경 투자 사업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탄소중립 시대에 걸맞은 혁신과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