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 전산장애 겪고도…"재난대응 미비 기업만 탓할일 아니다"

대국민 서비스 2년 만에 또 중단...핵심 시스템 1·2등급 재난 대응력 시험대 행안부, 647개 중 551개 시스템 재가동…전체 정상화까지 시간 소요

2025-09-28     이지영 기자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소방대원이 불에 탄 배터리를 살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한스경제=이지영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정부의 전산 서비스가 사실상 전면 중단되면서, 시스템 이중화·재해복구(DR) 체계의 실효성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2년 전 정부가 전산망 장애 사고 이후 재난 발생 시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8일 기준 지난 26일 대전 유성구 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국토교통부 관련 5개 시스템이 마비됐다. 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과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을 비롯해 지적재조사행정시스템과 용산공원 홈페이지 등 일부 서비스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특히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일사편리)이 중단되면서 토지대장과 부동산종합증명서 등 8종 민원 서류의 온라인 발급 및 열람이 중지됐다.

앞서 2022년 10월 카카오톡 서비스가 마비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역시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2023년 11월 전산망 마비 사태 때도 관리 문제를 드러내 비판을 받았다.   

이후 정부는 지난해 초  범정부 차원의 '디지털 행정서비스 국민신뢰 제고 대책'을 통해 1·2등급 핵심 시스템의 네트워크와 방화벽을 이중화를 진행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백업 장치가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27일 기준 이번 화재로 영향을 받은 대전 센터에 구축된 647개 전산 시스템 전체를 가동 중단했다. 당초 불이 난 7전산실의 70여개 시스템만 직접 피해가 예상됐지만, 배터리 폭발로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면서 항온항습기가 마비됐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행정안전부 산하 기관으로, 대전 본원을 비롯해 광주·대구 분원을 관리하며 정부24, 인터넷우체국, 국민신문고 등 약 1600여개 정부 서비스를 운영하는 국가 전산망의 심장이다. 이번 화재로  사고 발생 시 행정 시스템이 받는 영향이 큰 구조인 만큼, 2년 전 개선 작업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완이 필요한 실정임이 드러났다.

정부는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이라는 특수 상황을 이유로 들고 있으나, DR 체계는 화재·지진 등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대비해 마련된 장치다. 이번 사태로 2년 전 내놓은 대책의 실효성이 충분치 않았음이 다시 확인됐다.

업계 관계자는 "사고 자체는 예측이 어렵지만, 핵심은 신속한 복구와 대응 능력이다"며 "이번 사례에서 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중단에 대한 명확한 대응책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화재로 가동이 중단했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분원 내 네트워크 장비 재가동을 진행해 28일 오전 7시 기준 50% 이상, 핵심 보안장비는 전체 767대 중 763대(99%) 이상 재가동을 완료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