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현대차그룹 건설 美 제철소 공동투자한다

철강·이차전지 상호협력 MOU 체결...통상환경 극복 포스코 북미 완성차 고객사 위한 마케팅 교두보 확보 이차전지 사업 경쟁력 활용...안정적 공급망 구축 협력

2025-04-21     임준혁 기자
포스코홀딩스.

[한스경제=임준혁 기자] 포스코그룹이 현대자동차그룹이 건설을 추진하는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에 공동 투자한다. 양사는 글로벌 미래 모빌리티 소재 시장 선점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포스코그룹은 21일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차그룹과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갖고 글로벌 경제 블록화 및 급변하는 통상환경 아래 탄소저감 철강 및 이차전지 시장에서 양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했다.

이날 MOU 체결식에는 현대차그룹 한석원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과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미래전략본부장(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해 양사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MOU 체결로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미래 모빌리티용 강재와 이차전지 소재의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현대차그룹은 완성차 시장의 글로벌 톱 3 메이커로서 맞춤형 고급소재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를 향해 협업하게 된다.

우선 철강분야에서 양사는 통상환경 극복을 위한 글로벌 합작투자부터 탄소저감 철강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탄소중립 전환까지 협력한다. 양사 협력의 첫 결실로 포스코그룹은 철강사업에서 완결형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현대차그룹이 발표한 대미 철강 투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지난 10여년간 보호무역 장벽으로 제한됐던 북미 철강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게 됐다.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는 이번 미국 루이지애나 제철소 합작투자를 통해 미국과 멕시코지역에 원활한 소재를 공급할 수 있어 유연한 글로벌 생산 및 판매 체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포스코의 정확한 합작투자 지분 비율 및 투자액수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포스코는 현재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Posco-Mexico)을 비롯해 북미(미국·멕시코)지역에 철강가공센터를 운영하며 다양한 완성차 회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도 포스코그룹은 현대차그룹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해 캐즘(Chasm) 이후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포스코그룹의 리튬부터 양·음극재 등 이차전지 소재 사업 경쟁력과 현대차그룹의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기술력을 시너지로 공급망 구축과 차세대 소재 개발 분야 등에서 양사가 지속가능한 협업점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이번 전략적 제휴는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해외 고성장, 고수익 시장에서의 철강사업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중점 추진해 온 ‘완결형 현지화 전략’과 이차전지 소재 시장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캐즘 이후를 대비하자는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부터 양사 간 논의가 추진돼 왔다.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사장은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통상 압박과 패러다임 변화에 철강과 이차전지 소재 등 그룹사업 전반에 걸쳐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과 현대차그룹은 1973년부터 50년 넘게 이어진 철강과 자동차라는 동반자적인 신뢰 관계의 연결고리로 철강과 자동차 산업에서 국내를 넘어 글로벌 대표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발판으로 양사는 글로벌 산업재편과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탄소저감 철강재와 친환경 모빌리티'를 매개로 지속가능한 성장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철강과 에너지 소재 및 신사업 중심의 ‘2 Core + New Engine’으로 그룹 사업을 재편하며 본질적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장기 성장 구조를 구축하는데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포스코그룹은 고강도와 경량의 이점을 살린 자동차강판용 '기가스틸'과 배터리팩, 전기차 구동모터 소재 등 미래 모빌리티용 철강소재 포트폴리오를 비롯해 글로벌 리튬 염호 및 광산을 기반으로 양·음극재 생산 및 리사이클 능력을 갖춘 이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