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전쟁에 금값 ‘역대 최고가’...금 거래대금 4.4배↑
일평균 거래대금 509억1600만원...거래량은 241.45% 급증 금값 고공행진...뉴욕상업거래소 6월 인도분 금 선물가격 3328.40달러 美 정부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 높아지며 ‘안전 자산’에 투자 집중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강도 관세 정책을 무기로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을 더하는 가운데, 올해 들어 국내 금 거래대금이 지난해보다 4.4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20일 올해 들어 지난 18일까지 금 현물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금 1kg 기준)은 509억16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일평균 거래대금(115억2300만원)보다 341.85%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12월 기준 금 거래대금은 일평균 194억4300만원으로 200억원에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1월 250억9200만원으로 뛰더니 2월 809억1300만원으로 올랐다. 3월(517억4200만원)과 4월(400억8600만원) 들어 소폭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지난해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국내 증시의 일평균 거래대금이 지난해 19조1353억원에서 올해 18조4776억원으로 3.44% 감소한 점을 고려할 때 금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이 더 두드러진다.
금 거래량도 대폭 늘었다. 지난 18일까지 금 현물시장 일평균 거래량은 353.6kg으로 지난해 일평균 거래량(103.5kg)보다 241.45% 급증했다.
금 거래대금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금값이 고공행진 했기 때문이다. 금융정보업체인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 선물가격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온스당 3328.40달러를 기록했다. 16일에는 온스당 3346.40달러로 역대 최대치 기록을 새로 썼고, 지난해 말보다 약 26% 증가했다.
한국거래소 금 현물시장의 금 가격(1kg 기준)은 지난해 말 12만7850원에서 지난 18일 15만2260원으로 뛰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통하는 금으로 매수세가 몰리는 것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동차, 철강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와 국가별 상호관세 카드까지 꺼냈고, 이에 미국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그 충격에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 세계 자금이 유입되던 나스닥 종합지수가 15.66% 하락하는 등 미국 증시가 급락했고, 주요 6개 통화 대비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선을 하회하고 있다.
예상보다 강한 미국의 관세 정책에 유럽과 아시아 증시도 널뛰기 장세가 나타나고 있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조만간 발표할 세계 경제 전망이 하향 조정될 것이라고 미리 경고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관세와 관련해 유화적인 태도와 메시지를 내고 있지만, 중국과의 갈등이 점차 넓어지고 있는 점, 국가별 협상에 진정이 없다면 언제든 고강도 관세 정책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세계 경제는 ‘풍전등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당분간 투자 자금은 안전자산인 금으로 더욱 쏠리고, 금 가격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