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관세 폭격 예고…부품·장비 업계 피해 최소화 '촉각'
美 반도체 관세 관련 전방위적 조사 진행...웨이퍼·기판도 포함 업계, 협상용 카드로 이용...실행 가능성 낮지만 예의주시
[한스경제=김태형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부과와 관련한 대대적인 검토가 진행된 가운데 조사에 해당되는 부품·장비 업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메모리와 파운드리 외에도 반도체 기판을 포함한 부품과 장비, 웨이퍼 등 반도체 공급망 전체를 미국에 두겠다는 트럼프의 의도에 피해 최소화를 위한 업체들의 전략도 복잡해지는 모양새다.
15일 연합뉴스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14일(현지시간) 관보에서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substrate)과 웨이퍼(bare wafer), 범용(legacy) 반도체, 최첨단(leading-edge) 반도체, 미세전자(microelectronics),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 등이 포함된다.
트럼프 행정부가 검토 중인 모든 조사 대상이 품목별 관세 항목인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삼성전기, LG이노텍, SK실트론 등도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품목별 관세는 생산지와 상관없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반도체 관련 제품에 모두 매겨진다. 이번 조사는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범위를 반도체 칩에 얽힌 모든 공급망으로 넓히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파운드리 업계 1위 대만 TSMC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이어 반도체 부품, 장비회사들에도 생산지를 미국에 두고 투자하라는 압박이라는 분석이다. '웨이퍼'는 반도체 제조에 빠질 수 없는 재료여서 반도체 관세가 실현될 경우 이를 피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SK실트론과 일본 신에츠, 대만 글로벌웨이퍼스 등 소수의 5개 업체가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데다, 대부분 적으면 2∼3년, 길면 5년 이상의 장기계약으로 이뤄져 단가 인하 압박은 적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오히려 웨이퍼를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업체나 세트(완제품)업체로 영향이 전가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TSMC, 삼성전자, 인텔 등이 웨이퍼를 전부 사다 써야 하는데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조사는 반도체 전체 공급망을 다 보겠다는 의미"라며 "웨이퍼 업계는 보통 장기계약이어서 물량이나 단가를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이 쉽지 않고 웨이퍼를 필요로 하는 업체들의 고심은 더욱 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반대로 미국 빅테크를 상대로 첨단 반도체 기판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삼성전기와 LG이노텍 등 전자 부품업체들의 우려는 더 커졌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 공급망을 다변화한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상호관세 90일 유예로 한숨 돌렸지만 이번 반도체 관세의 검토 대상 포함으로 불확실성은 더 확대됐다.
웨이퍼보다 대체 가능한 업체 수가 많은 부품업체는 세트업체가 가격 인하 압박을 주는 등 관세 부담을 전가시킬 가능성도 크다.
업계 관계자는 "부품에 관세가 매겨져도 구매하는 쪽(세트업체)이 부담을 져야 하다 보니 세트업체가 더 싼 업체의 부품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며 "다만 트럼프 정부가 어떤 식으로 부품, 반도체 기판에 관세를 부과할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예의 주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는 이 같은 전방위적인 반도체 관세 정책이 현실화 되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정책을 협상을 위한 카드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관세에 대해 계속 왔다 갔다 하는 상황에서 속단하긴 이르지만 관세가 실제로 부과되면 미국 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고 애플과 같은 미국 업체들의 피해도 크기 때문에 실행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