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팔걷고 나섰다"...기업들의 산불 피해 지원 행렬
삼성·SK·현대차·LG·포스코 등 피해 지역에 기부금 지원 현장 복구 지원, 제품 무상 수리 서비스…반려동물 구호 활동도
[한스경제=고예인 기자] 최근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경북과 울산 지역 주민을 위해 재계가 팔을 걷어붙였다. 이들은 지원금 외에도 차량 및 구호 물품 지원 등 피해복구 지원 활동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26일 산불 피해 지역 복구와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해 성금 30억원을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한다고 밝혔다. 삼성은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등 8개 계열사가 참여해 30억원을 기부했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 LG그룹, 포스코그룹은 성금 20억원을 각각 지원하기로 했다. 롯데그룹과 KT그룹, 한화그룹도 10억원을 기탁했다. 두산그룹과 CJ그룹, LS그룹은 각 5억원을 전달했다. HD현대그룹은 HD현대1%나눔재단이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에 성금 7억원, HD현대 계열사가 3억원 상당의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기업들은 생활필수품, 구호 키트 등을 피해 지역에 전달하면서 이재민과 현장에 투입된 소방 인력, 자원봉사자도 지원하고 있다.
삼성그룹은 재해구호키트 1000개와 거주용 천막 600개를 피해 지역에 보냈다. LG전자는 임시 대피소에 공기청정기를 비롯해 가전제품을 지원하는 한편 피해를 본 가전제품을 무상 수리하는 이동서비스센터를 운영한다.
현대차그룹은 세탁과 방역 구호 차량 6대를 투입해 오염된 세탁물 처리와 방역 대응을 돕는다. 앞서 소방청에 전달한 소방관 회복지원 차량 4대가 피해 현장에 파견돼 소방관들의 휴식을 지원한다. 피해 주민을 위해 화재 피해 차량 입고 시 수리 비용을 50%까지 할인하고, 무상 세차 서비스도 제공한다.
SK하이닉스는 경남 하동군, 충북 영동군 이재민들에게 구호 텐트와 바닥 매트 800세트, 구호 꾸러미 1500개 등을 지원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은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 인근에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휴대전화 배터리 충전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위생용품과 이불, 비상식량 등으로 구성된 ‘산불 피해 주민 긴급 구호 키트’를 제작해 지원한다. 롯데 유통군은 컵라면과 마스크, 에너지바 등 1만8000개를, 롯데웰푸드는 3억3000만원 상당의 식료품을 기부했다. HD현대중공업은 현장 공무원들에게 도시락 1500인분을 제공했다.
피해 현장 복구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 HD현대의 건설기계 계열사인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는 산불 피해지역 복구를 위한 굴착기와 인력을 지원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피해 지역에 세탁·방역 구호 차량 등 6대를 투입해 오염된 세탁물 처리와 피해 현장의 방역 대응을 지원한다.
이 밖에도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도 산불 피해 복구에 10억원씩 지원하고 구호 꾸러미와 급식차 등을 보냈다. 또한 금융사들은 이재민을 대상으로 특별 대출, 만기 연장, 금리 우대, 보험료·카드 결제 대금 유예 등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다.
그간 기업들은 최근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이른바 '3고' 현상으로 산업계 전반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난 상황때 마다 피해 복구를 적극 지원했다. 삼성의 최근 사례를 보면 지난 2022년 수해 현장에 30억원을, 2022년 이태원 참사 당시 50억원, 2022년과 2023년 강원도 산불에 각각30억원을 기부했다. 이 밖에도 2023년 수해현장에 30억원을 기부하며 거액의 성금을 기부했다.
이러한 기업들의 지속적인 사회공헌 활동은 경제적 이익 추구를 넘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지역의 조속한 피해 복구와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