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롱맨의 귀환…트럼프, 첫날부터 '미국우선' 강드라이브

취임 첫날 25개 행정명령...자급자족, 제조업 부흥 최우선 방점 그린 뉴딜 폐기, 석유 천연가스 등 전통 에너지산업 부흥 약속 중국과의 무역 관계 재검토, 중국산 제품 대상 관세 대폭 강화

2025-01-21     권선형 기자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공식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기가 이제 막 시작됐다”며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했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치를 내세운 스트롱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귀환했다.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공식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기가 이제 막 시작됐다”며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했다. 그는 경제, 에너지, 국방,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하며, 미국의 주권과 번영을 되찾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특히 트럼프는 취임사에서 바이든 행정부 시절의 정책들을 비판하며, 이를 폐기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할 것을 약속했다. 트럼프는 “미국 국민은 더 이상 실패한 정책과 무책임한 리더십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나는 여러분과 함께 미국을 다시 위대하고 강력하게 만들겠다”고 힘줘 말했다.

경제 부문에서는 미국의 자급자족과 제조업 부흥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더 이상 외국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일자리와 산업을 해외로 빼앗긴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약속하며, “미국 내 모든 산업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에너지 정책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그린 뉴딜’을 폐기하고, 석유와 천연가스 시추를 포함한 전통 에너지 산업의 부흥을 강조했다. 트럼프는 “에너지 독립은 우리의 주권과 번영을 위한 핵심 요소”라며 “우리는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에너지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되찾 겠다”고 말했다.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에너지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트럼프는 국방과 외교 분야에서도 강경 노선을 예고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세계 어디에서도 미국의 힘이 존중받고 두려움의 대상이 되도록 만들 것”이라며 군사력 증강과 동맹 재정비를 언급했다. 그는 특히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와 같은 기존 동맹 관계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히며 “우리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동맹이나 협정은 과감히 수정하거나 철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도 재확인하며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과 기술 도용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했다. 관세를 강화하고 미국 기업들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는 설명이다.

트럼프는 취임사에서 밝힌 ‘미국 황금기 시작’을 실현하기 위해 이날 25건 이상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미국 우선주의’ 정책 드라이브를 시작했다. 트럼프의 행정명령은 국경 보안, 에너지 독립, 경제 회복, 사회 정책 등의 내용으로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정책들을 대거 철회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트럼프는 첫 번째 행정명령으로 남부 국경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췄다. 그는 남부 국경 지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며 불법이민 차단을 위한 강력한 조치를 지시했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폐지됐던 '멕시코 잔류 정책'(Remain in Mexico)을 부활시키고, 망명 신청자들이 심리 기일 전까지 멕시코에 머물도록 요구하는 내용이다.

또한 트럼프는 국경 장벽 건설 프로젝트를 재개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그는 “미국의 국경은 더 이상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불법 체류자 추방 절차를 가속화하고, 국토안보부에 추가 자금을 지원해 국경 순찰 인력을 대폭 늘리겠다고 덧붙였다.

에너지 정책에서도 전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기조를 폐기하고 화석연료 산업 부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알래스카 북극권 야생동물보호구역(ANWR)에서 석유와 천연가스 시추를 재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에너지 독립을 선언했다. 이 조치는 미국 내 에너지 생산량을 늘리고 에너지 비용을 낮추겠다는 공약을 실현하기 위한 조치다.

나아가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했던 '그린 뉴딜'과 연방 정부 차원의 친환경 에너지 지원 프로그램을 폐지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트럼프는 “미국은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다시 한 번 세계 최고의 에너지 강국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하고 미국 내 에너지 산업이 자유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재개하는 명령도 포함시켰다. 트럼프는 “이 프로젝트는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미국 제47대 대통령으로 공식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미국의 황금기가 이제 막 시작됐다”며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했다. /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분야에서도 자신의 공약 실현에 박차를 가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 관계를 재검토하고,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직접적인 관세 인상 명령은 없었지만, 향후 100일 내 이를 구체화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트럼프는 “미국 경제는 더 이상 외국에 의존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자급자족 경제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미국 제조업 부흥과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연방 정부 계약에서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제품 사용 의무화를 강화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사회 정책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보수적 가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연방 정부의 공식 정책으로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성별만 인정한다’는 내용을 명시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성소수자 권리 확대를 지향했던 바이든 행정부와 극명히 대조되는 방침으로, 보수 진영의 지지를 얻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또한 출생 시민권 제도를 폐지하고, 부모 중 한 명이라도 미국 시민권자가 아니면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방침도 발표됐다. 이는 이민자들이 자녀 출생만으로 시민권을 얻는 관행을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트럼프의 취임 첫날 행정명령들에 대해 외신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보수 성향 매체인 폭스뉴스(Fox News)는 트럼프의 신속한 행동력을 높이 평가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줬다”고 보도했다. 반면 진보 성향 매체인 CNN과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은 미국 사회의 분열과 갈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비판했다.

특히 환경 단체들은 그린 뉴딜 폐기와 화석연료 확대 방침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이는 기후 위기를 악화시키고 미래 세대에게 막대한 피해를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이민자 권리 단체들은 난민 프로그램 중단과 출생 시민권 폐지 조치가 인권 침해 소지가 있다며 법적 대응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