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응급실 99% 24시간 운영 중…군의관 등 인력 확충"

응급실 전체 의사 평시의 73% 수준 "응급실 근무 인원 절반 이하는 사실 아냐" 추석기간 중증·응급 환자 진료 차질 최소화

2024-09-02     이소영 기자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 보건복지부 제공

[한스경제=이소영 기자] 정부가 응급실 붕괴 우려를 일축하고 나섰다. 정부는 이달 4일부터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공보의)를 진료 제한 응급실에 긴급 배치해 운영할 예정이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차관은 2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현재 전반적인 응급의료 역량을 종합적으로 볼 때 일부 어려움은 있지만 일각에서 제기하는 것처럼 붕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체 409개 응급실 중 99%인 406곳이 24시간 운영 중이며 27곳(6.6%)는 병상을 축소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지난달 30일 기준 5918개로 평시인 2월 1주 6069개의 97.5%에 해당한다.

인력 현황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 기준 권역·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개소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해 12월 1504명이었는데, 지난달 26일 기준으로는 소폭 증가한 1587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인해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전체 의사는 평시 대비 73.4%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 차관은 "일각의 주장처럼 응급실 근무 인원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전공의 공백으로 응급실 인력이 감소한 만큼 인력 유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군의관과 공보의 등 대체 인력을 조속히 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복지부는 응급실 운영이 일부 제한된 의료 기관에 총 15명의 군의관을 오는 4일 배치하고, 9일부터 8차로 파견될 약 235명의 군의관과 공보의를 위험기관 중심으로 집중 배치할 계획이다.

또한 응급의료 인력 유출을 방지하고 후속 진료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건강보험 수가 개선에도 나선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는 250% 가산, 후속 진료인 수술·처치·마취 행위에 대한 200% 가산은 이번 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거쳐 후속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지역별로 응급 혹은 후속 진료가 가능한 의료인력을 공유하고 순환당직제 대상 확대를 통해 지역 응급의료 수요를 적시에 해결하겠다"며 "9월 11일~25일을 추석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주간으로 운영해 중증·응급환자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