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시중 유동성 5.7조↑…9개월 연속 증가
M2 통화량 3929.9조…지난달 대비 0.1%↑
[한스경제=이성노 기자] 2월 시중 유동성이 6조원 가까이 늘어나면서 시중 통화량은 9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4년 2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광의통화(M2) 평균 잔액은 3929조 9000억원으로 1월 대비 5조 7000억원이 늘었다. 지난해 6월부터 8개월째 오름세다. 다만 증가폭(0.1%)은 전월(0.3%)에 비해 감소했다.
M2는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다 머니마켓펀드(MMF), 만기 2년 미만의 예적금 및 금융채, 시장형 상품과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모두 포함한 통화지표를 뜻한다. 이는 주로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금융상품별로 정기예적금은 1월 대비 무려 18조 3000억원이 증가했으며, 수익증권은 6조 8000억원이 늘었다. 반면, 2년미만 금전신탁(-9.2조원)과 MMF(-5.5조원) 등은 1월보다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12.7조원), 기타금융기관(+4.8조원), 기타부문(+1.8조원) 등이 증가했으나, 기업부문(-5.9조원)은 감소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저축성예금만 포괄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M1)은 1월대비 3조 5000억원이 줄어든 1217조 7000억원을 기록하며 5개월 만에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정기예적금은 예금금리 고점 인식, 은행의 자금 유치 노력 등으로 증가했고. 수익증권은 주식형 펀드에 자금이 유입되며 증가했다”며 “금전신탁은 순발행이 이어지던 정기예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순상환되며 감소했고, MMF는 사회보장기구를 중심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