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사회구성원과 ‘상생적 혁신’ 향해 함께 달린다
카카오T 7주년 맞아 ‘상생’, 혁신 등 플랫폼 철학 소개 500억 상생기금 활용 방안 공개…구성원 ‘윈-윈’ 방향 활용 “ESG 경영 강화로 내실 다지고 글로벌 진출 본격화”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사회 구성원과 상생을 통한 혁신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에 나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7일 카카오택시 출시 7주년을 맞아 ‘상생적 혁신' 기반의 사업 전략과 사회적 책임 강화 방안, 미래 모빌리티 기술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비전 발표를 시작으로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의 위상을 굳건히 하겠다는 의지다.
류긍선 대표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파괴적 혁신'을 통해 기존 시장을 뒤엎는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나갔다”며 “반면 카카오모빌리티는 기존 택시업계를 비롯한 공급자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상생적 혁신을 추구해왔다”고 소개했다.
이어 “카카오모빌리트는 지난 4일 배차 시스템 원리를 전격 공개하는 등 플랫폼에 대한 투명한 소통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겠다”며 “소비자의 만족도 향상이 더 많은 수요 창출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공급자들에게 더 많은 수익의 기회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공동체 차원에서 추진하는 상생기금 중 500억 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공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기금을 단순 지원금 형태로 소모하는 것이 아닌 모빌리티 생태계에 참여하는 공급자-업계-이용자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동반성장 방안을 만드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향후 5년간의 500억 원 상생기금 운용 방안은 △370억 원의 기금을 집행해 플랫폼 내 공급자들의 수익 증진 △플랫폼 공급자 처우 개선을 위해 80억원 투입 △중소 사업자들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모색 등 기존 업계와의 동반성장하는 것에 집중했다.
상생기금 500억 외에도 향후 카카오 및 카카오 임팩트 재단 등과 협력을 통해 추가 기금도 조성할 방침이다. 추가로 확보한 기금은 △이동약자의 이동권 개선 △긴급 생활비 지원 △자녀 학자금 지원 등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모빌리티 종사자들의 생활 안전망 강화를 위해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날 오는 5월부터 ‘국제선 단계적 일상 회복 방안' 추진으로 국가 간 이동 수요의 회복이 기대됨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 재개한다고 밝혔다.
먼저 카카오 T 플랫폼을 통해 하늘길의 인바운드(국내 입국자)와 아웃바운드(외국 출국자) 수요 모두를 아우른다는 계획이다. 해외 여행객들이 전 세계 120개 이상 국가에서 카카오 T 앱 하나로 현지 이동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국인 방문객들을 위해 주요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의 해외 지원 서비스를 연계하는 솔루션도 모색 중에 있다.
또한 한국인 관광객 방문율이 높은 해외 시장으로의 직접 진출을 위해 현지 모빌리티 기업과 협력하고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할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 시장 투자도 적극적으로 단행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진출 관련 구체적인 계획을 올해 3분기 내로 가시화한다는 목표다.
류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처럼 지도, 도로 네트워크, 라우팅 등 모든 인프라를 갖춘 모빌리티 기업은 전 세계적으로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며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글로벌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7년간 상생형 혁신을 통해 독보적인 모빌리티 성장 모델을 구축해왔다"며 “앞으로 카카오 공동체와의 협력을 통한 상생기금을 조성해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동시에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글로벌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외 진출을 가속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