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수출입 집중도, G7보다 높아…"대외 리스크 취약”
경총, 수출입 품목집중도·국가집중도, 주요 국 웃돌아 "수출입 특정 품목·일부 국가 의존… 지원대책 요구"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우리나라 수출입이 특정 품목과 일부 국가에 편중돼있어 다른 경쟁국보다 대외 리스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2일 ‘우리나라 수출입 집중도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수출입 집중도는 주요 7개국(G7)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수출입 집중도는 한 나라 수출과 수입이 특정 품목이나 국가에 집중된 정도를 말한다. 집중도가 높을수록 그 나라 경제구조가 대외 리스크에 취약할 수 있다는 의미다.
경총에 의하면 우리나라 수출 품목집중도는 877.3포인트로 일본(785.6포인트)·독일(536.8포인트) 등 모든 G7 국가보다 높았다.
특히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수출 품목집중도는 계속 높아져 지난 2010년 740.8포인트에서 지난해 877.3포인트까지 상승했다. 반도체 등 전기기계 장치·기기와 도로 주행 차량이 전체 수출 대비 각각 23.7%, 10.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게 원인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수입 품목집중도 역시 563.4포인트로 영국(478.4포인트)·미국(454.7포인트) 등 모든 G7 국가보다 높았다. 다만 우리나라만 놓고 봤을 때 지난 10년간 수입 품목집중도는 2010년 739.4포인트에서 2015년 618.2포인트, 2020년 563.4포인트로 감소했다.
최근 수입 품목집중도가 낮아진 건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석유 수입 비중 감소 영향으로 추정된다. 국제유가가 크게 상승한 올해 수입 품목집중도가 다른 국가에 비해 더 크게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경총 측 설명이다.
경총은 “우리나라는 선진국보다 원자재나 중간재 수입 비중이 커 유가 변동이나 중간재 공급망 불안에 따른 부정적 충격이 선진국과 비교해 더 클 수 있다”고 부연했다.
수출입 국가집중도도 주요 선진국 수준을 크게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수출 국가집중도는 1076.4포인트로 G7 국가 증 캐나다(5427.0포인트)보다는 낮고 일본(1018.0포인트)·미국(736.0포인트) 등 나머지 국가보다는 높았다.
지난 10년간 수출입 국가집중도는 2010년 881.9포인트에서 지난해 1076.4포인트로 올랐다. 우리나라 수출은 40% 이상이 중국(25.9%)과 미국(14.5%)에 집중돼 미·중 무역분쟁에 더 취약할 우려가 있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우리나라 수입 국가집중도는 910.4포인트로 캐나다(2648.5포인트)·일본(951.5포인트)보다는 낮았지만 미국(810.5포인트)과 프랑스(720.1포인트) 등 나머지 국가보다는 높았다.
수입 국가집중도가 높다는 건 해당 국가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 경우 우리 산업에 필수적인 품목들의 안정적 수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는 걸 의미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입 비중은 중국이 23.3%로 가장 높았다. 미국(12.4%)·일본(9.8%)·독일(4.4%)·베트남(4.4%) 등이 뒤를 이었다.
경총은 우리나라 2대 주력 품목인 반도체 등 전기기계 장치·기기와 자동차 등 도로 주행 차량의 국가집중도도 분석했다.
전기기계 장치·기기 품목 수출 국가집중도는 지난해 1877.1포인트로 대만(2034.4포인트)보다는 낮았지만 일본(1168.6포인트)·미국(1053.5포인트)·중국(897.2포인트)보다는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 전기기계 장치·기기 품목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36.6%에 달하는 등 상위 5개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78.3%를 차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경총은 추정했다.
도로 주행 차량 품목 수출국도 미국(39.0%)을 비롯해 상위 5개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56.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글로벌 여건이 개선되면서 우리 수출 시장이 활력을 되찾고 있는 건 고무적”이라면서도 “다만 우리 수출입이 특정 품목에 크게 의존하고 있고 주력산업 수출입 시장이 일부 국가에 집중돼있어 다른 경쟁국들보다 대외 충격에 더 취약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지적되고 있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미중 무역전쟁 같은 대외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무역시장 다변화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며 “신기술·신산업 육성,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 에너지원 다변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적극적인 투자 및 연구개발(R&D) 지원대책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